Research on Effective Methodology for Hearing Impairment Rehabilitation; Based on a Diary Study for Elderly Online-Auditory Training

Article information

Audiol Speech Res. 2023;19(4):287-29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October 31
doi : https://doi.org/10.21848/asr.230126
1Department of Audiology and Speech Language Pathology,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Seoul, Korea
2Department of Communication, Halla University, Wonju, Korea
Correspondence: Junghwa Bahng, PhD Department of Audiology and Speech Language Pathology,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427 Yeoksam-ro, Gangnam-gu, Seoul 06197, Korea Tel: +82-70-8680-6933 Fax: +82-2-3453-6618 E-mail: bahng.jh@gmail.com
Received 2023 September 15; Revised 2023 October 6; Accepted 2023 October 6.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utilization of online-based auditory training content by individuals aged 70 and above, who are the primary users of auditory training programs. Additionally, we explore effective methodologies for online-based auditory training programs b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differences in auditory training content on training outcomes. Two elderly individuals, one female and one male, wearing hearing ai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assessed speech perception in noise at 5 dB SNR before and after auditory training. They completed a listening effort questionnaire and attended a total of 20 auditory training sessions over 7 weeks. During the training period, they maintained a “training diary” three times a week.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 two audiologists who provided auditory training to objectively analyze the diary survey results. Both hearing aid users demonstrated improved speech perception in noise scores and reduced listening effort. The analysis of auditory training experiences categorized them into three types: ‘emotion-stimulating,’ ‘information-generating,’ and ‘participatory.’ These categories informed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online auditory training content, including: 1) personalized auditory training cont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2) integration of auditory training into senior education programs, and 3) creation of interactive online auditory rehabilitation content using bidirectional technology.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continuous development of interactive content tailored to the demographic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n the context of online-based auditory training, individualized programs, such as group training and professional-led programs, are essential.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training outcomes can be enhanced through experience-based content.

INTRODUCTION

2023년 World Health Organization의 보고에 따르면, 전세계 인구의 20%, 즉 약 15억 명의 사람들이 청력손실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4억 3천만 명 정도가 청력손실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인구는 2030년이 되면 7억 명에 다다를 전망이다. 청력손실의 영향은 청력손실의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의사소통 능력에 영향을 끼치게 되고 이로 인해 우울, 고립 등으로 인하여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Aanondsen et al., 2023). 또한 많은 연구에는 경도인지 장애, 치매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 요소로 보고하여 많은 사람들이 청력손실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다(Blustein et al., 2023).

청력손실을 극복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보청기의 사용이다. 보청기는 소리를 증폭해 줌으로 인하여 난청인들이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 사용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보청기의 사용은 안경이나 콘텍트렌즈의 사용과는 달리 착용을 한 이후에 바로 모든 소리가 정상 청력인이 듣는 것처럼 깨끗하게 들리지 않는다. 보청기 착용에 있어서 가장 많은 불만은 소음이 있는 상황에서의 의사소통이다. 보청기의 여러 기능에서 특히 소음하 어음 시그널의 증진시키기 위해서 많은 기술이 탑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이 탑재가 되어 있어 사용자의 환경을 분석하여 소음을 줄이고 어음을 증폭하여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의 비율을 높일 수 있다(Kumar et al., 2023). 그러나 난청인들이 보다 어음를 잘 듣게 하기 위한 보청기의 여러 기술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보청기를 사용하면서 난청인들은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게 된다. 청각전문가들은 이러한 의사소통의 증진을 위해서는 청능훈련(auditory training)의 방법을 권장하고 있다. 많은 논문에서 청능훈련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증명하였으며 메타분석을 통하여도 청능훈련이 난청인들의 의사소통의 증가에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Lawrence et al., 2018). 그러나 많은 난청인뿐만 아니라 청능훈련 제공자인 청각전문가들은 비용이나 시간 등의 물리적, 경제적 이유 혹은 청능훈련에 대하여 알지 못하여 청능훈련을 못하고 있다(Kong & Jin, 2023).

난청인들이 겪는 청능훈련의 장애물을 해결하는 데 온라인 기반 청능훈련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온라인 기반 청능훈련은 원하는 장소에서 적은 비용으로 참여할 수 있고, 날씨나 훈련을 받을 수 있는 청각전문가가 있는 장소까지의 이동거리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무엇보다 본인이 원하는 시간에 청능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COVID-19 팬데믹 시기를 겪으며, 온라인 혹은 비대면 훈련에 대한 거부감이 낮아져 많은 난청인들이 온라인 기반 청능훈련서비스를 선호할 것이란 예상이 가능하다. 현재 영어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온라인 청능훈련 프로그램은 Listening And Communication Enhancement, ReedmyQuips, ClEAR, Amplify 등이 있으며(Fallahnezhad et al., 2023) 대중적으로 많은 난청인들이 사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온라인 청능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상용화를 앞두고 있으며 관련하여 다양한 실험과 여러 가지 훈련 방법을 사용하여 훈련의 효과가 증명되었다(Baek & Lee, 2016; Kang et al., 2020; Kim & Bahng, 2017; Lim & Bahng, 2016; Yeo et al., 2014). 그러나 현재 많은 청능훈련 프로그램 분석 연구들은 청능훈련의 방법론적인 부분만을 분석하고 콘텐츠에 연계하여 훈련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청능훈련 프로그램의 주 이용층인 70대와 80대 노인 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반 청능훈련 콘텐츠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후에 훈련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콘텐츠에 따라 선호도, 호응도는 훈련 효과에 영향 여부에 대한 연구 기반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청기 사용자 2명의 일기조사 연구 방법을 통해 콘텐츠를 분석하였고 분석한 결과의 객관적 결과의 도출을 위하여 본 온라인 기반 청능훈련을 사용하여 훈련을 진행한 청각전문가 2명의 focused ground interview (FGI)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MATERIALS AND METHODS

연구 대상

본 연구에는 서울 소재의 교회의 홈페이지를 통해 실험 조건 및 실험 방법을 공지하고 청능훈련에 참여하고자 하는 보청기 사용 난청 노인을 모집하였다. 온라인 기반 청능훈련을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70대, 80대 보청기 사용 노인 2명을 선정하였으며, 두 명 모두 10년 이상 보청기를 사용 경험이 있다. 참여자의 결정은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본인이 적극적으로 청능훈련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음을 보였을 때 참여하게 하였으며 보청기를 꾸준히 착용하고 있다면 다른 조건을 적용하여 참여를 제한하지 않았다. 참여자 모두 소음이 있는 환경에서 그리고 여러 다화자 대화에서 화자의 말을 알아듣기 힘들다고 공통적으로 의사소통 문제를 호소하였다.

청각전문가의 FGI를 위해서는 현재 온라인 기반 청능훈련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는 청각전문가 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연구 대상자 및 청각전문가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Table 1).

Information of participants

연구 절차

국내의 보청기 사용 성인 및 노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온라인 기반 청능훈련의 콘텐츠를 난청인들이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콘텐츠 분석 방법은 일기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일기연구는 참가자가 훈련을 진행하면서 일지를 작성하고 그의 개인적인 생각, 느낌 등을 기록하여 표본 자료를 수집하는 사회과학방법론이다. 일기조사의 방법은 사회과학의 정량적 연구가 지닌 심층분석의 제한을 극복하는 데 널리 활용하는 연구로 콘텐츠 분석에 효과적이다(Kim, 2013). Wimmer & Dominick(2013)Morgan & Krueger(2004)가 언급하였듯이, 질적 연구로서 초점집단에 대한 분석은 자료의 수집과 이해의 심화, 집단적 상호작용을 통한 새로운 통찰력을 얻는 데 적합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일기조사와 초점집단 연구 방법을 통해 연구가 객관적이고 심층적으로 수행되고 해석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청능훈련 콘텐츠 아마존 서버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설치하고 음원 파일과 텍스트 파일을 저장하여 스트리밍하는 온라인 기반 콘텐츠로 기존 연구를 통해 훈련 효과가 입증된 콘텐츠들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콘텐츠들은 소음하 듣기(Yeo et al., 2014), 짧은 이야기 듣기(Lim & Bahng, 2016), 긴 이야기 듣기(Kim & Bahng, 2017), 문장 순서화하기(Kang et al., 2020), 가로세로퀴즈(Baek & Lee, 2016) 등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훈련에 참여한 난청인들은 개인 모바일을 통해 훈련에 참여하였다. 훈련 순서는 참여자들이 원하는 대로 임의로 진행할 수 있게 하였다. 훈련 플랫폼은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어떠한 기기로 접속을 하더라도 모두 구동이 가능하며, 훈련에 참여한 난청인들은 늘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을 통한 참여 의사를 밝혀 모바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훈련 전과 후에 Korean Repeat and Recall test (K-RRT; Shim, 2022)에서의 소음하검사(5 dB SNR) 및 듣기노력 설문지를 실시하여 훈련 효과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온라인 기반 일기조사 청능훈련 실험 참여자들은 청능훈련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개선해보고자 하는 의지가 있었고, 연구진과의 면밀한 사전 면담을 통해 대상자별 7주 20회로 총 14주에 걸쳐 수행되었다. 온라인 기반 청능훈련 콘텐츠 이용에 대한 “청능훈련 콘텐츠 이용 다이어리”를 작성하였다. 청능훈련에 관한 정보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Online-based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experiment design

청능훈련은 수요일, 금요일은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일요일은 대면으로 연구진과 진행하였다. 세션당 훈련은 30분 단위로 훈련하고 휴식 시간을 가졌으며, 대상자의 의지에 따라 1일 60분에서 90분을 실시하였고, 훈련 후 훈련일기를 작성하였다. 일기조사는 자신의 청능훈련 소회를 서술하는 데 왜곡이 있을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이 있었고, 이를 보강하기 위해 일기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실험 참여자들과 FGI를 120분간 실시하였다. 또한 일기조사 결과 분석의 객관적 결과 도출을 위해 온라인 기반 청능훈련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연구진들과 2회에 걸쳐 FGI를 진행하였다.

RESULTS

청능훈련 전, 후 소음하 어음검사 및 듣기노력 검사

소음하 어음검사

청능훈련을 실시하기 전 보청기 착용 후 K-RRT의 소음하 어음검사를 두 명의 대상자에게 실시하였다. 소음하 어음검사의 어음은 50 dB HL에서 어음을 제시하고 5 dB SNR의 어음잡음(speech noise)을 제시하였다. A와 B의 훈련 전, 후 검사 결과는 다음 Table 3와 같다.

Results of speech perception in noise at 5 dB SNR

듣기노력 설문 결과

듣기노력(listening effort)을 측정하기 위해서 K-RRT의 청취노력평가 사용한 설문을 이용하였다. 설문은 10점 척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1점은 “노력하지 않아도 듣기 쉽다”이며 10점은 “노력해도 듣기 어렵다”이다. A는 훈련 전 5.5점인 “듣기 위해 중간 정도의 노력이 필요하다”였으나 훈련 후에는 4점 “듣기 위해 조금의 노력이 필요하다”로, B의 경우도 A와 비슷하게 5점에서 4점으로 감소하였다.

일기조사를 통한 콘텐츠 분석 결과

일기조사를 통해 생산된 정량 데이터는 총 12,180글자, 3,149단어, 445개 문장으로 A(여성 70대 난청인)가 생산해 낸 데이터가 B(남성 난청인)보다 약 11~13%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자로 된 데이터에서 가치 있는 정보도출을 위해 텍스트 마이닝(textmining)분석을 실시하였다. Korea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패키지를 통해 #단어, #빈도, #최소단어빈도, #고빈도단어중앙배치, #단어크기범위, #색상목록을 적용해 추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4).

Textmining analysis of diary study

분석 결과 추출된 #상위 10개 두 글자 단어(top10 <-df_word %>%, head10 ## word freq)는 가족, 친구, 여행, 아들, 날씨, 우울함, 스포츠, 축구, 기분, 발음 등으로 나타났으며, 청능훈련을 통해 온라인 기반 콘텐츠를 이용하며 실험 대상자가 느낀 단어들을 Steuer(1992)의 상호작용성 정의에 따라, ‘감정자극형’, ‘정보생산형’, ‘참여형’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다(Kim, 2013). 상호작용성은 콘텐츠와 사용자, 미디어와 사용자, 이용자와 이용자 등 사람과 사람 사이의 매개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온라인 기반 연구에서 컴퓨터 시스템과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 컴퓨터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와 이용자 간의 사용 경험 등을 의미한다. 우울함이나 기분 등으로 표현되는 ‘감정자극형’, 이용자들의 관심 있는 이슈나 필요로 하는 날씨, 과학 등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생산형’, 주변에 익숙한 주제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활력을 얻는 ‘참여형’의 개념을 중심으로 실험에 참여한 참가자들과 FGI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I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청능훈련 콘텐츠 개발

청능훈련에서 대상자를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은 이미 많은 연구들을 통해 증명되었다. Shin(2013)은 노인성 난청 환자의 청각재활 치료 연구를 통해 재활훈련은 “자가관리 방법(self-management)을 교육시켜 주기적인 청각기능검사 및 인지적, 감정 및 행동적, 심리적 상황”들을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는데,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훈련 콘텐츠가 훈련 과정 중 자신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며, 기분이 좋은 경우 훈련 시간도 늘어나고, 훈련도 우호적으로 느껴진다고 응답하였다.

“딱딱하고 재미가 없는 이야기들은 해도 신도 안 나고, 이게 무슨 말인지... 내가 좋아하는 이야기들을 골라서 훈련해주면 좋을 것 같은데 왜 이런 훈련에 없는지... 선생님이 재미있게 만들어주면 많이 늘 것 같아.”(A, 여/70대)

이는 전문가들의 경험진술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들 당신들이 좋아하는 주제, 아는 이야기 나오는 걸 다 좋아하세요. 그런 주제가 나오면 당신들이 아시는 지식도 말씀하시려고 하고, 자꾸 얘기가 삼천포로 빠지긴 하는데 그래도 흥미유발 측면에서는 좋은 거 같아요.”(C, 여/40대)

“훈련프로그램들을 보면 내용들이 딱딱합니다. 실험 참여자들이 쓰신 일기를 보니 전문가로서 훈련 콘텐츠가 중요하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훈련 시간이나 방법만 신경 썼지 콘텐츠 개발을 생각을 안 했는데, 더 섬세하게 고민해야겠다는...”(D, 남/40대)

연구 결과, 대상자가 청능훈련 과정에서 날씨와 여행 등 경험 기반 콘텐츠로 훈련한 경우 훈련에 대한 호감도가 상승하고 훈련도 재미있어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훈련의 양과 질 측면에서 콘텐츠와 훈련성 간 상호작용을 통해 훈련 성과가 나게 되는데 온라인 기반 콘텐츠의 경우 선호하는 콘텐츠를 체크하고 반복하면 콘텐츠 선호 알고리즘을 통해 유사한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온라인 기반 청능훈련 콘텐츠의 개발은 콘텐츠산업 관점에서 매우 기초 단계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선호 훈련 콘텐츠에 대한 알고리즘’ 적용을 통해, 좋아하는 콘텐츠로 훈련 지속성 및 효과를 높일 수 있는 AI 기반 온라인 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본 연구 결과가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노인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청능훈련 콘텐츠 개발

연구 결과 정보습득에 대한 대상자들의 욕구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경기의 규칙, 우승기록, 역사적 사건 등 새로운 정보에 호기심을 가지고 더 많은 내용을 알고자 하는 정보추구의 욕구가 청능훈련에 긍정적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할머니들 중에 ‘내가 야구, 축구는 아는데 몇 명이서 하는지 생각도 안 해봤는데 이번에 처음 알았네. 다음에 하는 거 보면 몇 명이 하는지 세어봐야겠네’ 하시면서 좋아하시는 분들도 있어요. (중략) 어떤 할아버지는 ‘아, 이 oo가 이렇게 만들어지는지 몰랐네. 맨날 마누라가 차려주는 것만 먹었지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고 힘들구만...’ 말씀하시기도 해요.”(C, 여/40대)

“전화나 받는 게 아니라, 이렇게 사파리를 열어 로그인을 하고 헤드폰을 끼고 훈련을 하니 제가 50년은 젊어진 것 같고 스스로가 자랑스러웠습니다. 훈련을 하며 자신감이 많이 생겨서 감사합니다.”(B, 남/80대)

온라인 기반 청능훈련 프로그램은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건강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온라인 기반 특성에 따라 노인들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기반이 될 수 있다.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과 삶의 만족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다(Ballantyne et al, 2010; Cotten et al., 2012; Kim & Jun, 2014; Oh & Yu, 2018). 따라서 청능훈련 콘텐츠에 정보추구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강화하는 전략은 노인들의 학습 능력과 기억력 개선,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효과를 높이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양방향 기술기반 상호작용 온라인 청능재활 콘텐츠 개발

온라인 기반 콘텐츠의 약점으로 학습자들의 참여도 약화가 주요 요인이다(Kim, 2018). 본 연구 결과 온라인 기반 청능훈련의 효과 증진을 위해 참여도는 ‘음성 콘텐츠의 목소리와 톤의 변화’, ‘음성과 동시에 제공되는 자막을 통한 청각과 시각의 동시 활용’, ‘자신의 발음과 음성 다시 듣기’, ‘개인별 학습 경로 및 진도 체크’, ‘동시간대 훈련에 참가하는 대상자 간 온라인 대화기능 활성화’, ‘평가 및 피드백을 통한 훈련강화’, ‘성과에 대한 칭찬 기재 활성화’ 등 다양한 방법론이 제기되었다.

“청능훈련이라 내용이 건조할 줄 알았는데, 가로세로퀴즈도 있고 문장 힌트도 있고 신경을 많이 쓴 것 같습니다. 기회가 되면 교회 장로님들 몇 분과 같이 훈련을 받으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시간도 잘 가고 귀도 좋아지고 일석이조라고 소개하겠습니다.”(B, 남/80대)

“참, 콘텐츠도 중요하지만요, 더 중요한 것은 칭찬이에요. 계속 틀리시면 좌절하지 쉬운 단계로 센스 있게 넘어가면서 좌절감을 느끼시지 않게 해드리는 게 중요하구요. 잘하시면 계속 칭찬해 드려야 계속 훈련을 지속할 수 있더라구요.”(C, 여/40대)

온라인 기반 청능훈련 콘텐츠는 양방향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따라서 청능훈련 대상자들의 훈련 흥미를 저하하는 콘텐츠를 사전 조사를 통해 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성과에 따라 칭찬 기재를 디자인하여 대상자들의 성취감을 자극해 훈련 시간과 강도를 높이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능훈련 콘텐츠는 대상자의 연령, 취미, 사회경제적 배경 및 인지, 성격에 따라 특히 현재 시점의 요구에 따른 개발과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DISCUSSIONS

본 연구는 청능훈련 프로그램의 주 이용층인 70대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반 청능훈련 콘텐츠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각 대상자별로 7주간 20회에 걸친 일기조사 및 청각전문가의 FGI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청능훈련 콘텐츠의 차이가 청능훈련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 연구를 통해 온라인 기반 청능재활 훈련의 효과적 방법론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총 20회에 걸친 온라인 기반 청능재활 훈련 결과, 훈련 전 A와 B 참여자 모두 소음하 어음인지력이 모두 훈련 후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K-RRT 청취노력평가 결과 듣기노력 또한 참가자 모두 훈련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가 2명이었고 훈련 전후의 소음하 어음인지력 및 듣기노력이 비교적 좋은 편에 속하며 훈련 전후의 점수가 비슷하게 변화하여 콘텐츠 선호도에 따른 훈련 효과의 차이 유무는 비교가 어려웠다.

일기조사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보면 온라인 기반 청능훈련 콘텐츠에 대한 이용 경험은 ‘감정자극형’, ‘정보생산형’, ‘참여형’ 세 가지로 유형화되었다. 각 유형별 분석에 따라 청능훈련 콘텐츠 개발 전략을 도출한 결과 첫째, AI를 활용해 ‘선호 콘텐츠에 대한 반복과 심화 알고리즘’ 적용을 통해 개인별 맞춤 훈련 콘텐츠를 개발하여 훈련 지속성 및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노인들의 정보추구 욕구를 청능훈련에 적용하여 노인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청능훈련 콘텐츠를 강화하여 긍정적 상호작용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온라인의 양방향 기술 활용을 극대화하여 훈련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및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상호작용 가능한 콘텐츠의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흥미로운 점은 본 훈련 과정에서 청능훈련 환경에 따른 훈련 지속성의 차이 확인할 수 있었는데 연구자가 대상자의 청능훈련에 참여한 경우와 대상자 혼자 청능훈련을 실시한 경우 훈련의 양의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데이터를 따로 수집하지 않아 정확하게 정량적으로 제시할 수는 없었지만 훈련제공자와 함께 훈련을 하는 경우 혼자 하는 경우보다 훈련의 양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온라인 기반 청능훈련이라고 할지라도 그룹훈련, 지도자와 함께하는 훈련 프로그램 등 대상자별 맞춤 청능훈련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가 청능훈련 과정에서 날씨와 여행 등 경험 기반 콘텐츠로 훈련한 때, 훈련에 대한 호감도가 상승하고 훈련도 재미있어 하는 것으로 보였는데 이는 향후 청능훈련 콘텐츠와 청능훈련 효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훈련의 양과 질 측면에서 콘텐츠와 훈련성과의 관계성에 대한 관련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청각학 분야에서 처음으로 일기조사를 통한 훈련의 콘텐츠 분석 방법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보다 다각적인 훈련 프로그램의 효율적 이용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고 결과를 통하여 많은 난청인들이 청능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cknowledgements

N/A

Notes

Ethical Statement

N/A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re is no conflict of interests.

Funding

N/A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Jong Ha Kim. Data curation: Jong Ha Kim. Investigation: Jong Ha Kim, Junghwa Bahng. Methodology: Jong Ha Kim. Project administration: Junghwa Bahng. Resources: Jong Ha Kim, Junghwa Bahng. Software: Jong Ha Kim. Writing—original draft: Jong Ha Kim. Writing—review & editing: Junghwa Bahng. Approval of final manuscript: all authors.

References

1. Aanondsen C. M., Jozefiak T., Lydersen S., Heiling K., Rimehaug T.. 2023;Deaf and hard-of-hearing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quality of life and communication. BMC Psychiatry 23(1):297.
2. Baek S. S., Lee J. H.. 2016;Development of crossword puzzles for auditory training.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12(2):103–108.
3. Ballantyne A., Trenwith L., Zubrinich S., Corlis M.. 2010;I feel less lonely: What older people say about participating in a social networking website. Quality in Ageing: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11(3):25–35.
4. Blustein J., Weinstein B. E., Chodosh J.. 2023;It is time to change our message about hearing loss and dementia.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71(8):2676–2679.
5. Cotten S. R., Anderson W. A., McCullough B. M.. 2012;The impact of ICT use on loneliness and contact with others among older adults. Gerontechnology 11(2):161–165.
6. Fallahnezhad T., Pourbakht A., Toufan R.. 2023;The effect of computer-based auditory training on speech-in-noise perception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dian Journal of Otolaryngology and Head and Neck Surgery doi: 10.1007/s12070- 023-03920-0. [Epub ahead of print].
7. Kang D., Kim S. H., Yun D., Bahng J.. 2020;Auditory training using remembering the order of sentences for the elderly who wear hearing aids: Is it effective for speech perception in noise, working memory and reasoning ability?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16(2):124–132.
8. Kim H. K.. 2018;Exploring learners’ evaluation and perception of e-Learning content. Review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3):42–47.
9. Kim J. H.. 2013;A study about TV viewing behavior through multiple media under Nscreen circumstances.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31:177–208.
10. Kim M. Y., Jun H. J.. 2014;The Relationships among IT use, satisfaction with IT use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Asian Regional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21(4):167–178.
11. Kim N. K., Bahng J.. 2017;Development of a story based auditory training tool and evaluation of the training efficacy for adult hearing impaired listeners.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13(2):133–140.
12. Kong H., Jin I. K.. 2023;Survey of auditory training awareness for hearing professionals and elderly individuals using hearing aids.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19(2):116–140.
13. Kumar S., Guruvayurappan A., Pitchaimuthu A. N., Nayak S.. 2023;Efficacy and effectiveness of wireless binaural beamforming technology of hearing aids in improving speech perception in noise: a systematic review. Ear and Hearing doi: 10.1097/AUD.000000000 0001374. [Epub ahead of print].
14. Lawrence B. J., Jayakody D. M. P., Henshaw H., Ferguson M. A., Eikelboom R. H., Loftus A. M., ; et al.. 2018;Auditory and cognitive training for cognition in adults with hearing los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rends in Hearing 22:2331216518792096.
15. Lim E. H., Bahng J.. 2016;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auditory training tool using story and question.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12(2):109–114.
16. Morgan D. L., Krueger R. A.. 1998. The Focus Group Kit.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K. L. Shin, Y. J. Jang, Y. K. Kim, et al., Trans (2004).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cus Groups. (pp.85-111). Seoul: Hyunmoon Publishing.
17. Oh J. A., Yu J. W.. 2018;A study on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Korean Public Management Review 32(2):319–344.
18. Shim S. Y.. 202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Korean repeat and recall test. (Doctoral dissertation) Chuncheon: Hallym University.
19. Shin J. E.. 2013;Rehabilitation of age-related hearing loss patients.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56(8):475–81.
20. Steuer J.. 1992;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73–93.
21. Yeo S., Bahng J., Lee J. H.. 2014;Efficacy of auditory training using sentences in noise for hearing aid users.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10(1):65–75.
22. Wimmer, R. D. & Dominick, J. R. (2013). Mass Media Research: An Introduction. (10th ed.), (pp.42-63). Boston, MA: Cengage Learning.
23.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3). Deafness and hearing loss. World Health Organization. Retrived from https://www.who.int/health-topics/hearing-loss#tab=tab_1.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Information of participants

Gender/age Information of participants
A Female/70s Unilateral (Rt) HA user (Rt: 58 dB HL, Lt: 35 dB HL)
B Male/80s Unilateral (Lt) HA user (Rt: 40 dB HL, Lt: 53.3 dB HL)
C Female/40s Audiologist
D Male/40s Audiologist

Rt: right ear, HA: hearing aid, Lt: left ear

Table 2.

Online-based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experiment design

Experimental method
1 Training period 20 sessions
2 Training duration 38.3 hours
3 Training method Once a week, participant did auditory training with an audiologist
4 Diary writing and review Three times a week on Sundays, Wednesdays, and Fridays
5 Interpretation and inference Following the diary study methodology, interpretative and inferential findings are provided as feedback, and insights are incorporated into the subsequent training sessions

Table 3.

Results of speech perception in noise at 5 dB SNR

Side Pre-training Post-training
A Rt 88% 96%
Lt 76% 96%
B Rt 76% 92%
Lt 88% 96%

Signal and noise presented 0 azimuth. Rt: right ear, Lt: left ear

Table 4.

Textmining analysis of diary study